본문 바로가기
728x90

일반과세자2

3. 영업허가증 발급, 사업자등록증 발급 완료, 준비물 마포구 소재 상가에 창업을 준비중이다. 영업허가증은 구마다 발급장소가 다르다. (구청에서 하는 경우, 보건소에서 하는 경우) 각 지역의 구청에 전화를 걸어서 확인할수 있고, 전화를 걸면 120다산콜센터로 연결이 된다. 간혹 전화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출발하기 전에 미리 알고 가면 편할듯 하다! 마포구는 보건소에서 담당한다.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영업허가증 발급: 마포보건소 (1층 위생민원실) 1) 발급 장소 식품접객업 영업허가증 발급은 문을 들어서서 1층 오른쪽 끝으로 가면 된다. (통신판매업은 3층으로!) 2) 영업허가증 발급 서류 작성하고 번호표 뽑기 준비물: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보건증, 위생교육수료증 직원분께서 빠르게 정리를 해서 창구에서 금방 서류를 만들어주신다. 나는 식품접객.. 2022. 8. 27.
간이과세배제기준 (국세청 자료) -간이과세자의 혜택. 매출 공급가액의 1.5~4% 부가세 납부 -일반과세자는 매출공급가의 10%를 납부 매출 4,800만원~8,000만원 이하 간이과세자로 사업자등록을 하여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사업장 주소에 따라 또는 업종에 따라 간이과세자로 등록 불가능한 경우 있다. 내용이 방대하여 전체를 정리할 수 없으니 배제기준에 해당되는 동네인지 꼼꼼히 읽어볼 필요가 있음. 지역에 따른 간이과세배제기준만 썼다. 더 많은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 알림 소식 -> 고시공고행정예고->고시-> '간이과세배제기준' 검색 https://www.nts.go.kr/nts/na/ntt/selectNttInfo.do 2022.1.1 시행 기준 제5조(지역기준) 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않는 지역은 [별표4]와 같다. 단, [별표4].. 2022. 8.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