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일기

3. 영업허가증 발급, 사업자등록증 발급 완료, 준비물

by 블폭 2022. 8. 27.
728x90
728x90

 

마포구 소재 상가에 창업을 준비중이다.

 

영업허가증은 구마다 발급장소가 다르다. (구청에서 하는 경우, 보건소에서 하는 경우) 

각 지역의 구청에 전화를 걸어서 확인할수 있고, 전화를 걸면 120다산콜센터로 연결이 된다.

간혹 전화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출발하기 전에 미리 알고 가면 편할듯 하다!

 

마포구는 보건소에서 담당한다.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영업허가증 발급: 마포보건소 (1층 위생민원실)

 

1) 발급 장소

식품접객업 영업허가증 발급은 문을 들어서서 1층 오른쪽 끝으로 가면 된다. (통신판매업은 3층으로!)

 

2) 영업허가증 발급 서류 작성하고 번호표 뽑기

 준비물: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보건증, 위생교육수료증

 직원분께서 빠르게 정리를 해서 창구에서 금방 서류를 만들어주신다. 

 나는 식품접객업- 일반음식점 으로만 허가를 넣었기 때문에 복잡하지 않게 바로 발급된 것 같다.

 

 영업장의 면적에 따라 (100제곱미터 이상- 소방시설 서류)

음용수의 종류에 따라 (수돗물, 지하수 등) 챙겨야 하는 서류가 더 있을 수 있다. 

 

 방문자분들중 간혹 건물의 용도가 음식점을 운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등록되어 있어서 다시 돌아가는 분들이 있는것 같다.

나의 경우에는 아니었지만 120다산콜센터에서 꼭 확인해보고 방문하라고 강조하셨다.

 

3) 영업장 방문일 설정

 영업허가증을 발급받고 최대  한 달 후에 식품접객업 영업허가 담당 직원분이 매장을 방문해서 검사한다.

희망 날짜와 시간을 종이에 써서 제출하면 되고, 혹시나 날짜를 변경하고 싶다면 전화할 연락처도 이 때 알 수 있다.

인테리어 날짜가 늦어지거나 하는 상황을 대비한 것 같다.

 

4) 수수료 납부

 -허가증 발급 수수료: 28,000원

 -면허세 (고지서): 27,000원

허가증을 발급받은 창구에서 바로 카드로 28,000원을 계산한다.

그리고 전기요금 고지서같은 빳빳한 종이를 주신다. 이것은 별도로 계좌입금해야 한다.

(2가지 항목 모두 돈내야함)

 

 

 

-사업자등록증 발급 : 마포세무서 (6호선 대흥역)

 

예전에는 마포세무서에 대기자가 많았다고 하는데

코로나 때문에도 그렇고, 홈택스로 간편하게 처리가능한 민원이 많아지면서 창구를 이용하는 분들이 적어진 것 같다.

 

준비물: 영업허가증, 임대차계약서, 신분증

 

1) 번호표 뽑기 전 서류 먼저 작성

 (1) 사업자등록증 발급이 처음이라면 생소한 항목이 많기 때문에 무조건 서류를 먼저 작성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대기번호표 숫자가 지나면 새로 다시 뽑아야 한다고 공지되어 있는 종이를 보았다.

 (2) 업종코드번호

 종류가 굉장히 많고 비슷한 업종이 많다. 미리 생각해가면 좋다.

홈택스 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도 가능)

기타민원- 업종코드에서 검색창을 이용해 내가 등록하려는 코드번호를 미리 알아가면 좋다.

 

 나는 검색창에 커피, 카페를 각각 검색해서 어떤 코드로 등록할지 정했다.

3개 중에 고민했는데 업종에 따라 세율이 차이가 난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내 업종과 가장 부합되는 항목을 찾으면서 동시에 세율도 고려했다. (그래봤자 영점 몇몇이긴 함) 

 

 (3) 간이과세자 적용 여부

 '여'에 체크하면 간이과세자

 '부'에 체크하면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로 등록하고 싶어도 주소지가 일반과세자만 등록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한 번 글을 올린적 있다.)

 

 (4) 영업시작일 기재

 아직 인테리어 준비중이라 정확한 영업시작일을 며칠로 적을까 고민했다.

 창구 담당자분께 여쭤보니 대략 적어도 된다고 하셨다.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은가보다.

 

2) 번호표 뽑기

 조금 시간이 걸리기는 하는 편. 그래도 사람이 많지 않아서 10분 정도 기다렸다.

 

3) 사업자등록증 발급 완료

 빳빳한 종이에 인쇄해주시면 발급 완료!

내가 적어낸대로 그대로 만들어주신다. 주업종 음식점, 부업종 카페로 인쇄되어 나왔다.

 

 

아직 아무것도 시작된게 없는데

영업허가증과 사업자등록증을 받고나니 우리 가게가 대한민국 합법적인 가게가 된 것 같아서 벌써 기뻤다.

근데 현실은 이제 시작이다....ㅎㅎㅎ신난다.

 

 

728x90

'창업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홈택스 폐업 신고 방법  (2) 2022.09.23
5. 부동산 계약 (상가)  (0) 2022.08.27
4. 인테리어 업체 선정  (0) 2022.08.27
2. 가게 자리를 찾아라.  (0) 2022.08.19
1. 퇴사 후 창업 도전  (2) 2022.08.19

댓글